Swift Quick Sort(퀵 정렬)

안녕하세요 Noah입니다 :)

이번 시간에는 Sorting 알고리즘 톺아보기 2부 마지막 시간입니다!!🥺 🥺

이번에 살펴볼 Sorting 알고리즘은 Quick Sort입니다.

Quick Sort는 정렬 알고리즘 중 가장 인기 있는 알고리즘 중에 하나인데요,

1959년에 영국의 Tony Hoare란 분에 의해 고안되었다고 합니다.

Quick Sort 역시 divide and conquer 전략을 사용해 정렬을 진행하는데요, Quick Sort에 대해 한번 알아봅시다!

Quick Sort

먼저 Quick Sort가 데이터를 정렬하는 모습부터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Quick Sort

그림을 통해 기준이 되는 pivot(기준점)을 기점으로 정렬이 진행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림에서는 맨 우측 요소가 pivot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ivot을 어디로 두느냐에 따라 Quick Sort여러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합니다.

또한 pivot을 어디로 두느냐에 따라 같은 Quick Sort라도 큰 속도 차가 발생합니다.

먼저 Swift를 이용해 Quick Sort를 구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quickSort


func quickSort(_ array: [Int]) -> [Int] {
    guard array.count > 1 else { return array }

    let pivot = array[array.count / 2]
    let less = array.filter { $0 < pivot }
    let equal = array.filter { $0 == pivot }
    let greater = array.filter { $0 > pivot }

    return quickSort(less) + equal + quickSort(greater)
}

quickSort([10, 0, 3, 9, 2, 14, 8, 27, 1, 5, 8, -1, 26])
// [-1, 0, 1, 2, 3, 5, 8, 8, 9, 10, 14, 26, 27]

배열이 주어지면 배열은 pivot을 기준으로 3개의 부분으로 나눠집니다.

pivot보다 작은 부분, pivot과 같은 부분, pivot보다 큰 부분으로 나누어집니다.

한번 Quick Sort의 흐름을 따라가 보도록 해보겠습니다.

2

array

먼저 위와 같은 배열이 quickSort()의 인자로 주어진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알아보았던 Merge Sort와 같이 guard문의 조건대로 array가 들어오면
element가 하나만 남을 때까지 계속 분할이 진행됩니다.

3

array의 크기가 1보다 클 때만 이후의 코드를 진행하고 1보다 크지 않다면 현재 배열을 반환합니다.

현재 배열의 크기가 1보다 크기 때문에 pivot을 정하는 코드를 만나게 됩니다.

pivotarray.count / 2 를 하는 것으로 보아
pivot을 정하는데 아무런 연산을 하지 않고, 주어진 array의 가운데 위치한 요소pivot으로 하는
Quick Sort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array의 크기는 12이기 때문에 pivot은 6번째 인덱스에 있는 8pivot이 됩니다.

이제 우리는 array를 pivot을 기준으로 세 부분으로 나눌 것입니다. 바로 다음 코드를 통해 말이죠.

4

filter를 이용해 array를 세 부분으로 나눕니다.

less에는 pivot보다 작은 요소를,

equal에는 pivot과 같은 요소를,

greater에는 pivot보다 요소를 할당합니다.

위의 코드를 진행하고 난 뒤에는 less, equal, greater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할당됩니다.

less:    [ 0, 3, 2, 1, 5, -1 ]
equal:   [ 8, 8 ]
greater: [ 10, 9, 14, 27, 26 ]

lessgreater가 비슷한 수의 요소를 분할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이번에 좋은 pivot을 골랐다고 할 수 있습니다.

좋은 pivot에 대한 기준은 뒤에서 다시 살펴보겠습니다.

이제 다음 코드를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5

pivot을 기준으로 lessgreater로 나눴으므로, equal의 자리는 현재 확정되었습니다.

lessgreater 의 자리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quickSort()를 다시 호출합니다.

호출하는 quickSort()는 방금 진행한 code와 같은 일을 합니다.

pivot을 기준으로 인자로 전달하는 subarray를 다시 less, equal, greater 세 부분으로 나눕니다.

quickSort(less) code를 따라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quickSort(less)에 전달된 subarray는 다음과 같습니다.

[ 0, 3, 2, 1, 5, -1 ]

6

3

현재 array의 크기는 6이므로 1보다 크기 때문에 pivot을 정해줍니다.

따라서 pivot은 index 3번째에 위치한 1이 됩니다.

4

pivot을 기준으로 array를 다시 세 부분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습니다.

less:    [ 0, -1 ]
equal:   [ 1 ]
greater: [ 3, 2, 5 ]

equal의 자리는 확정되었지만, 아직 less, greater가 정렬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시 lessgreater를 대상으로 quickSort()를 호출합니다.

5

pivot을 기준으로 subarray를 다시 less, equal, greater 세 부분으로 나눕니다.

quickSort(less) code를 따라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quickSort(less)에 전달된 subarray는 다음과 같습니다.

[ 0, -1 ]

array의 크기는 2이기 때문에 guard 문을 통과하고,

pivot1번째 index-1이 됩니다.

-1을 기준으로 subarray를 다시 less, equal, greater 세 부분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less:    [ ]
equal:   [ -1 ]
greater: [ 0 ]

less에는 아무것도 들어가지 않습니다.

전달된 subarray에는 -1보다 작은 요소가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level에서 quickSort(less)를 호출한다면,

array.count0이기 때문에 guard문을 통과하지 못해 다시 돌아올 것입니다.

equal의 자리는 확정되었고, quickSort(greater)역시 array.count가 1이기 때문에

guard문을 통과하지 못하고, 전달한 subarray인[0]을 반환받아 올 것입니다.

따라서 여기까지 정복이 끝나게 되면
더 큰 배열을 정렬하기 위해 현재 level의 subarray를 호출한 위 level로 [-1, 0]을 반환하여 올라갑니다.

현재 subarray를 호출한 곳의 greater 배열의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3, 2, 5 ]

quickSort(greater) 를 호출하면 subarray는 pivot2로 하여 코드를 진행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나누어집니다.

less:    [ ]
equal:   [ 2 ]
greater: [ 3, 5 ]

여기서 pivot3으로 선택하면 더 좋았을 것입니다. 3으로 pivot을 선택했을 경우
분할이 더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죠!

아래는 3으로 pivot을 선택했을 경우입니다. 참고만 해주세요!!

less:    [ 2 ]
equal:   [ 3 ]
greater: [ 5 ]

만약 분할을 진행할 때 방금과 같은 Bad Pivot을 많이 고르게 될 경우
분할이 더 이루어져 정렬이 느리게 진행될 것입니다.

이것이 지금까지도 좋은 pivot을 결정함에 있어 아직도 많은 논문이 나오고 있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less:    [ ]
equal:   [ 2 ]
greater: [ 3, 5 ]

다시 원래 선택한 pivot으로 돌아와서 이번 level에서 역시 equal의 자리가 확정되고

greater를 대상으로 quickSort()를 호출하게 됩니다.

quickSort(greater) 를 진행하게 될 경우 subarray는 다음과 같이 분할됩니다.

less:    [ 3 ]
equal:   [ 5 ]
greater: [ ]

이렇게 되면 분할이 완료되어 return quickSort(less) + equal + quickSort(greater) 을 통해

[3, 5] 배열이 반환될 것입니다.

우리가 위에서 본 일련의 과정은 모든 subarray가 정렬될 때까지 반복됩니다.

모든 정렬이 진행되고 난 후의 사진은 다음과 같습니다.

7

모든 분할과 정복의 과정을 마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정렬된 배열을 얻게 됩니다.

[ -1, 0, 1, 2, 3, 5, 8, 8, 9, 10, 14, 26, 27 ]

Summary


동작을 크게 구분 지으면 세 가지로 나누어집니다.

  1. 최초에 pivot을 잡은 다음에 pivot보다
    작은 숫자는 less로 같은 숫자는 equal로, 큰숫자는 greater로 분류한다.
  2. greater, less의 요소가 한 개의 요소를 가질 때까지 분할을 진행한다.
    pivot보다 작은 부분(less)에 대해서 quickSort(less)를 호출하고,
    equal은 자리를 확정하게 되고,
    pivot보다 큰 부분(greater)에 대해서 quickSort(greater)를 호출한다.
  3. greater, less의 요소가 한 개의 요소를 가지게 되면 정복의 과정을 거쳐 정렬된 배열을 가지게 됩니다.

Quick Sortpivot을 어떠한 element로 정하느냐에 따라서 다양한 Quick Sort가 존재합니다.

대표적으로 좋은 pivot을 (분할을 적게 진행할 수 있는 pivot)고르는 것을 운에 맡기는 Random,
항상 index의 가운데에 있는 값을 pivot으로 정하는 Median,
맨 왼쪽, 오른쪽을 pivot으로 정하는 Quick Sort들이 존재합니다.

시간 복잡도


- Best : O(n log n)

- Worst : O(n^2)

- Average : O(n log n)

Quick Sort는 매 단계 적어도 1개 이상의 원소가 자리를 찾게 되므로 이후 정렬할 개수가 줄어들어

다른 O(n log n)으로 동작하는 정렬하는 알고리즘보다 빨리 동작합니다.

이러한 빠른 동작Quick Sort라는 이름의 기원이 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Quick Sort는 배열의 요소 중에 같은 값이 있으면

정렬 이후 순서가 초기 순서와 달라질 수 있어 Merge Sort와는 달리 불안정(Unstable) 정렬에 속합니다.

평균과 가장 좋은 상황일 때 O(n log n)이며, 가장 나쁜 상황에서는 O(n^2)이 나옵니다.

여기서 말하는 가장 나쁜 상황이란 주어지는 모든 배열의 요소가 정렬되어있어
분할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경우입니다.

이번 구현에서는 재귀 함수를 이용해 Quick Sort를 구현했습니다.

재귀 함수를 이용하게 되면 스택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과도한 재귀 호출을 하게 될 경우
스택 오버플로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은 주의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꼬리 재귀를 이용하면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

여기까지 Sorting 알고리즘 톺아보기 2부 마지막 시간인 Quick Sort였습니다😄

혹시 제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이 있거나, 오타 혹은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고

이미지 출처

관련 포스트


Written by
@[SeungHyun]

👨‍💻 25살 대학생 개발자입니다.

 Swift를 활용한 iOS개발에 관심이 많지만

🛠 기술을 가리지는 않습니다.😊